(주)라이프사이언스

장바구니0

세포

전자책은 Streaming 방식으로 판매됩니다. PDF다운은 저작권법상(불법) 안됩니다.
E-book(전자책) 서비스를 무통장 입금을 통하여 이용하시는 경우 공휴일 및 연휴에 주문하신 경우에 한하여 결제진행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0% SALE 상품이미지 최대 사이즈

  • 상품이미지 1

일반도서 구매 전자책 구매
상품 정보 표
365일 - 41,650원
3일 - 41,650원
소비자 가격 49,000
판매가격 49,000
저자명 곽한식 외
출판사 라이프사이언스
출판년도 20230301
페이지
ISBN 9788961544184
배송비 무료배송

선택한 상품

  • 상품수량
    49,000원

총 합계금액 49,000

맛보기

전자책은 Streaming 방식으로 판매됩니다. PDF다운은 저작권법상(불법) 안됩니다.

저희 홈페이지에서 제공해드리는 전자책 서비스는 스트리밍(Non-DRM)방식이므로 결제가 완료되면 따로 다운로드를 받지 않아도 바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그에따라 결제완료 후 단순변심에 의한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한 점 안내드립니다.


1부 서론 1


1장 세포란 무엇인가? 2

1.1 서론 3

1.2 생명은 스스로 복제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시작되었다 4

1.3 원핵세포는 세포 내에 구획이 나뉘어 있지 않다 5

1.4 진핵세포에는 막으로 경계를 지어놓은 구획들이 많다 6

1.5 세포질이 구획 내의 환경을 독특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막이 있어서이다 7

1.6 핵은 핵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안에는 유전 물질이 들어 있다 8

1.7 원형질막 덕분에 세포는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9

1.8 세포 내 세포: 엔벨롭으로 둘러싸인 소기관들은 내부공생으로 생긴 것 같다 10

1.9 DNA는 세포의 유전물질이지만, 다른 형태의 유전정보 물질도 있다 12

1.10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 공장이다 12

1.11 엽록체는 식물세포에 동력을 공급한다 13

1.12 소기관들은 단백질을 특정 위치로 배치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13

1.13 단백질은 막으로 수송되기도 하고, 막을 통과해 수송되기도 한다 14

1.14 단백질은 단백질 수송 작업에 의해 소포체와 골지체를 통해 이동된다 15

1.15 단백질 접힘과 풀림은 모든 세포의 필수적인 특징이다 16

1.16 진핵세포의 모양은 그 세포의 세포골격에 의해 결정된다 16

1.17 세포 구조물의 위치 지정은 중요하다 18

1.18 신호변환 경로는 미리 정해져 있는 반응들을 실행한다 19

1.19 많은 효소들과 신호전달 경로들이 모여, 기계처럼 작동하는 다중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한다 19

1.20 모든 생물체들은 성장하고 분열할 수 있는 세포를 가지고 있다 20

1.21 분화는 말기 분화 세포를 포함하여 특수화된 세포 유형들을 만들어낸다 20


2부 막과 수송 메커니즘 22


2장 이온과 작은 분자의 막 수송 24

2.1 서론 25

2.2 막 수송단백질의 주요 유형은 채널과 운반체이다 25

2.3 이온의 수화작용은 막 횡단 구멍을 통과하는 이온의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27

2.4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전기화학적 기울기는 막전위를 만들어 낸다 27

2.5 K+ 채널은 선택적이며 빠른 이온 투과 작용을 촉매한다 29

2.6 여러 K+ 채널들이 비슷한 출입구를 사용하지만, 그와 연계된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 메커니즘은 다르다 32

2.7 전압-의존성 Na+ 채널은 막 탈분극화에 의해 활성화되어, 전기신호를 다른 작용으로 바꾼다 37

2.8 상피 Na+ 채널은 Na+ 항상성을 조절한다 40

2.9 원형질막의 Ca2+ 채널은 세포내 신호전달 및 세포들 간의 신호전달 과정을 활성화시킨다 41

2.10 Cl- 채널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들을 수행한다 44

2.11 선택적인 물 수송이 아쿠아포린 채널을 통해 일어난다 47

2.12 활동전위는 여러 가지 유형의 이온 채널이 작용하여 생성하는 전기 신호이다 49

2.13 심장근과 골격근은 흥분-수축 연계작용에 의해 활성화된다 51

2.14 몇몇 글루코오스 수송체들은 단일방향 수송체이다 53

2.15 ‘동일방향 동반수송체’와 ‘역방향 동반수송체’는 동반 수송을 매개한다 56

2.16 막을 가로지르는 Na+ 기울기는 많은 수송체들의 기능에 필수적이다 58

2.17 일부 Na+ 수송체는 사이토솔과 세포 밖의 pH를 조절한다 60

2.18 Ca2+-ATPase는 Ca2+을 세포내 저장 구획 내로 펌프질해 들여보낸다 62

2.19 Na+/K+-ATPase는 원형질막의 Na+과 K+ 기울기를 유지시킨다 65

2.20 F1Fo-ATP 생성효소는 H+ 이동을 ATP 합성이나 ATP 가수분해와 연계시킨다 68

2.21 H+-ATPase는 사이토솔 밖으로 양성자를 수송한다 69

2.22 부록: 대부분의 K+ 채널들은 정류작용을 겪는다 71


3장 단백질의 막 표적화 73

3.1 서론 74

3.2 소포체 막을 가로질러 위치이동을 함으로써 단백질은 분비경로로 들어간다(개요) 75

3.3 소포체를 표적으로 하여 위치이동하기 위해 단백질은 신호서열을 이용한다 77

3.4 신호서열은 신호인식입자(SRP)에 의해 인식된다 78

3.5 SRP(신호인식입자)와 SRP 수용체 간의 상호작용 덕분에 단백질이 소포체 막에 도킹할 수 있다 79

3.6 트랜스로콘은 단백질을 통과시키는 수용성 채널이다 80

3.7 대부분의 진핵생물 분비단백질과 막횡단 단백질은 번역과 위치이동이 동반되어 일어난다 83

3.8 일부 단백질은 표적화와 위치이동이 번역된 후에 일어난다 84

3.9 ATP 가수분해가 위치이동을 추진시킨다 85

3.10 막횡단 단백질은 위치이동 채널로부터 빠져 나와 지질 이중층 안으로 이동한다 87

3.11 막횡단 단백질의 방향은 막에 통합될 때 결정된다 88

3.12 신호서열은 신호 펩티데이스에 의해 제거된다 90

3.13 위치이동된 일부 단백질에는 지질인 글라이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이 부가된다 90

3.14 위치이동 중인 여러 단백질에 당이 부가된다 92

3.15 샤프론은 새로 위치이동된 단백질의 접힘을 돕는다 93

3.16 단백질 이황화물 이성화효소 때문에 단백질이 접힐 때 정확한 이황화결합의 형성이 보장된다 94

3.17 칼넥신/칼레티큘린 샤프론 시스템은 탄수화물 변형을 인식한다 95

3.18 단백질이 복합체로 조립되는 과정은 감시를 받는다 96

3.19 소포체에서 최종적으로 잘못 접힌 단백질은 분해되기 위해 사이토솔로 반송된다 97

3.20 소포체와 핵 사이의 소통은 접히지 않은 단백질이 소포체 내강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준다 99

3.21 소포체는 세포의 주요 인지질들을 합성한다 102

3.22 지질은 소포체에서 다른 소기관의 막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104

3.23 이중층 막의 두 층은 종종 지질 조성이 다르다 104

3.24 소포체는 형태학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105

3.25 소포체는 동적인 소기관이다 107

3.26 신호서열은 단백질을 다른 소기관으로 가도록 표적화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108

3.27 미토콘드리아로의 반입은 외막에서 신호서열을 인식하면서 시작된다 109

3.28 미토콘드리아의 단백질 반입 과정에서는 내막과 외막 복합체들이 협동하여 작용한다 110

3.29 단백질은 퍼옥시솜으로 반입되기 전에 접힌다 111


4장 막 사이의 단백질 수송 113

4.1 서론 114

4.2 세포외배출 경로의 개요 116

4.3 세포내도입 경로의 개요 118

4.4 소낭-매개 단백질 수송의 개념 121

4.5 신호-매개 단백질 수송과 대량흐름 단백질 수송의 개념 123

4.6 COPII 피복 소낭은 소포체에서 골지체로의 수송을 매개한다 124

4.7 소포체에서 빠져나온 소포체-상주 단백질은 회수된다 126

4.8 COPI-피복 소낭은 골지체에서 소포체로의 역행성 수송을 매개한다 127

4.9 골지체를 통한 정방향 수송에는 두 가지 일반적인 모델이 있다 128

4.10 골지체 내에서의 단백질 잔류는 막횡단 도메인이 결정한다 129

4.11 Rab GTPase와 밧줄단백질은 소낭 표적화를 조절하는 두 가지 유형의 단백질이다 130

4.12 SNARE 단백질은 표적 구획의 막과 소낭의 융합을 매개하는 것 같다 132

4.13 세포내도입은 종종 클래트린-피복 소낭에 의해 매개된다 134

4.14 어댑터 복합체는 클래트린과 막횡단 화물단백질을 연결시킨다 137

4.15 어떤 수용체들은 초기 엔도솜으로부터 재활용되는 반면에, 라이소솜에서 분해되는 다른 수용체들도 있다 139

4.16 초기 엔도솜은 성숙되어 후기 엔도솜과 라이소솜이 된다 141

4.17 라이소솜 단백질의 분류는 후기골지망에서 일어난다 142

4.18 극성화 되어있는 상피세포는 단백질을 정단면과 기저측면의 막으로 운반한다 145

4.19 일부 세포들은 나중에 분비할 단백질들을 저장한다 146

4.20 일부 단백질들은 소포체-골지 경로로 들어가지 않고 분비된다 149


3부 핵 150


5장 핵의 구조와 수송 152

5.1 서론 153

5.2 핵은 세포 유형과 생물체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154

5.3 염색체들은 자기들끼리 서로 얽히지 않게 각각 별도의 영역에 나뉘어 있다 155

5.4 핵에는 막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소구획들이 있다 156

5.5 일부 과정들은 별도의 핵 부위에서 일어나는데, 이는 드러나지 않은 근원적인 구조물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158

5.6 핵은 핵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159

5.7 핵막하층은 핵막의 밑에 있다 160

5.8 핵과 세포질 간에 큰 분자들은 능동수송에 의해 운반된다 162

5.9 핵공복합체는 대칭형 채널이다 163

5.10 핵공복합체는 뉴클레오포린으로 만들어진다 165

5.11 핵공을 통해 핵 안으로 단백질들이 선별적으로 수송된다 167

5.12 핵 위치화 서열이 단백질을 핵으로 가도록 표적화시킨다 168

5.13 세포질 수용체는 핵 위치화 서열을 인식하여 핵의 단백질 반입을 매개한다 169

5.14 핵으로부터의 단백질 반출도 수용체가 매개한다 171

5.15 Ran-GTPase는 핵 수송의 방향성과 비가역성을 제어한다 172

5.16 핵공복합체를 통한 이동 메커니즘에 대해 여러 가지 모델들이 제안되었다 175

5.17 핵에서의 수송은 조절이 가능하다 176

5.18 여러 부류의 RNA가 핵에서 반출된다 177

5.19 라이보솜 소단위체들은 핵인에서 조립되어 여러 수용체에 의해 반출된다 179

5.20 tRNA는 전용 엑스포틴에 의해 반출되며, 다른 수용체도 사용할 수 있다 180

5.21 mRNA는 RNA-단백질 복합체 형태로 핵에서 반출된다 181

5.22 hnRNP는 가공되는 부위로부터 핵공복합체로 이동한다 183

5.23 mRNA 반출에는 몇 가지 새로운 인자가 필요하다 184

5.24 U snRNA는 세포질로 반출되어, 변형되고, 복합체로 조립된 다음, 핵으로 다시 반입된다 186

5.25 마이크로 RNA로 되는 전구체들은 핵에서 부분적으로 가공되고, 반출된 다음, 세포질에서 추가로 가공된다 187


6장 염색질과 염색체 188

6.1 서론 189

6.2 염색질은 진정염색질과 이질염색질로 나뉜다 190

6.3 염색체를 염색하면 부위별로 염색 정도가 달라 밴드(띠) 형태로 나타난다 191

6.4 진핵생물 DNA는 스캐폴드에 부착된 도메인과 루프를 가지고 있다 193

6.5 DNA의 특정 서열이 DNA를 간기 매트릭스나 중기 스캐폴드에 부착시킨다 194

6.6 진핵생물 염색체는 유전물질 분리 기구이다 195

6.7 효모의 점 동원체는 짧은 길이의 DNA 서열을 갖고 있다 196

6.8 동원체는 단백질 복합체와 결합한다 197

6.9 지역 동원체는 반복적인 DNA를 가지고 있다 197

6.10 말단소립은 특별한 메커니즘으로 복제된다 198

6.11 램프브러시 염색체는 더 길게 연장된다 200

6.12 다사염색체는 밴드를 형성한다 201

6.13 다사염색체는 유전자 발현 부위에서 확대된다 202

6.14 뉴클레오솜은 모든 염색질의 소단위체이다 203

6.15 DNA는 뉴클레오솜 배열 안에 감겨있다 205

6.16 뉴클레오솜은 공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206

6.17 히스톤 8량체의 조직화 208

6.18 히스톤 변이체들은 기존과는 다른 대체 뉴클레오솜을 만든다 210

6.19 염색질 섬유에서의 뉴클레오솜 경로 211

6.20 염색질 복제에는 뉴클레오솜 조립이 필요하다 213

6.21 뉴클레오솜은 특정한 위치에 놓여있는 걸까? 215

6.22 뉴클리에이스-민감성 도메인들은 활성 유전자가 있는 지역을 나타낸다 218

6.23 히스톤 8량체는 전사가 일어나는 동안 떨어졌다가 재조립된다 220

6.24 염색질 리모델링은 활발히 일어나는 과정이다 223

6.25 히스톤은 공유결합성 변형에 의해 변형된다 226

6.26 염색체 응축은 콘덴신에 의해 유발된다 229


4부 세포골격 232


7장 미세소관 234

7.1 서론 235

7.2 미세소관은 α-튜불린과 β-튜불린의 극성 중합체이다 237

7.3 미세소관의 일반적인 기능 239

7.4 정제된 튜불린 소단위체들을 미세소관으로 조립하다 241

7.5 미세소관 조립과 해체는 동적 불안정성이라는 독특한 과정에 의해 진행된다 243

7.6 GTP-튜불린 소단위체의 모자는 동적 불안정성의 전이를 조절한다 244

7.7 세포는 미세소관 조립의 핵형성을 하기 위해 미세소관-조직 센터를 이용한다 246

7.8 세포에서 미세소관의 역동성 248

7.9 세포가 동적인 미세소관을 갖고 있는 이유는 뭘까? 251

7.10 세포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미세소관의 안정성을 조절한다 253

7.11 미세소관을 기반으로 하는 모터단백질의 소개 257

7.12 모터단백질의 작동 방법 259

7.13 화물이 올바른 모터단백질로 적재되는 방법 263

7.14 미세소관의 역동성과 모터가 함께 작용하여 세포의 비대칭 구조를 이룬다 264

7.15 미세소관과 액틴 필라멘트 간의 상호작용 268

7.16 운동 구조물인 섬모와 편모 270


8장 액틴 275

8.1 서론 276

8.2 액틴은 어디에서나 발현되는 세포골격 단백질이다 277

8.3 액틴 단량체는 ATP 및 ADP와 결합한다 277

8.4 액틴 필라멘트는 구조적으로 극성인 중합체이다 277

8.5 액틴 중합반응은 여러 단계로 일어나며 동적인 과정이다 279

8.6 액틴 소단위체들은 중합반응 후 ATP를 가수분해한다 280

8.7 액틴 결합 단백질은 액틴 중합반응과 조직화를 조절한다 282

8.8 액틴 단량체 결합 단백질들은 중합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283

8.9 핵형성 단백질들은 세포의 액틴 중합반응을 제어한다 284

8.10 캡핑 단백질은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를 조절한다 285

8.11 절단 단백질과 해체 단백질은 액틴 필라멘트의 역학을 조절한다 286

8.12 교차-연결 단백질들이 액틴 필라멘트들을 다발과 직각 그물망으로 조직화시킨다 286

8.13 액틴과 액틴 결합 단백질이 함께 작용하여 세포 이동을 추진한다 288

8.14 소형 G 단백질은 액틴 중합반응을 조절한다 289

8.15 마이오신은 여러 세포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액틴 기반의 분자모터이다 290

8.16 마이오신은 3개의 구조 도메인을 갖고 있다 292

8.17 마이오신에 의한 ATP 가수분해는 여러 단계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294

8.18 마이오신 모터는 세포에서의 역할에 적합한 반응속도론적 특성을 갖고 있다 295

8.19 마이오신은 다중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된다 296

8.20 마이오신-II는 근육 수축에 작용한다 297


9장 중간필라멘트 301

9.1 서론 302

9.2 구조의 유사성에 의해 중간필라멘트 패밀리가 정의된다 303

9.3 중간필라멘트 소단위체들은 높은 친화력으로 조립되어 변형에 견디는 구조물을 만든다 304

9.4 중간필라멘트 단백질 전체의 2/3는 케라틴이다 307

9.5 케라틴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상피세포가 취약해진다 310

9.6 신경조직, 근육조직, 결합조직의 중간필라멘트 단백질들은 종종 중복된 발현 양상을 보인다 312

9.7 라민 중간필라멘트는 핵막을 강화시킨다 314

9.8 수정체 필라멘트 단백질도 진화과정에서 보존되어 있다 316

9.9 번역후 변형에 의해서 중간필라멘트 그물망이 조절되고 개조 된다 316

9.10 상호작용하는 단백질들이 중간필라멘트의 2차 기능을 촉진시킨다 318

9.11 중간필라멘트 유전자들은 후생동물의 진화 전체에 걸쳐 나타난다 319


5부 세포 분열, 세포자살, 그리고 암 322


10장 유사분열 324

10.1 서론 325

10.2 유사분열은 여러 단계로 나뉘어 있다 328

10.3 유사분열은 방추체라 불리는 새로운 기구의 형성이 필요하다 329

10.4 방추체의 형성과 기능은 미세소관 및 이에 결합된 운동단백질의 동적인 작용양상에 따라 달라진다 332

10.5 중심체는 미세소관 조직센터이다 334

10.6 중심체는 DNA가 복제되는 시점에 복제된다 334

10.7 분리된 성상체가 상호작용하면서 방추체 형성이 시작된다 337

10.8 방추체는 안정화되려면 염색체가 필요하지만 중심체 없이 “자가-조직화”를 할 수 있다 339

10.9 동원체는 키네토코어를 갖고 있는, 염색체 상의 특수한 지역이다 340

10.10 키네토코어는 전중기 개시 시점에 형성되며 미세소관 모터단백질을 갖고 있다 341

10.11 키네토코어는 미세소관을 포획하고, 결합된 미세소관을 안정화 시킨다 342

10.12 키네토코어 부착 시의 오류는 수정된다 346

10.13 키네토코어 섬유가 짧아지고 길어지고 해야만 염색체가 이동할 수 있다 347

10.14 회합에는 키네토코어에 작용하는 당기는 힘이 관여되어 있다 349

10.15 회합도 역시 조절되는데, 이는 염색체 팔을 따라 작동하는 힘과 자매 키네토코어 활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350

10.16 키네토코어는 중기에서 후기로의 이행을 제어한다 352

10.17 방추체 극을 향해 염색체를 이동시키는 힘은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된다 353

10.18 후기는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355

10.19 말기 동안에는, 세포가 유사분열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는 변화가 일어난다 357

10.20 세포질분열 동안에는, 세포질이 분할되어 2개의 새로운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358

10.21 수축환 형성에는 방추체와 지전체가 필요하다 360

10.22 수축환은 세포를 둘로 분할한다 362

10.23 세포질분열 동안 일어나는 핵이 없는 소기관들의 분리는 정확하게 반씩 나뉜다기보다 우연하게 대충 나뉜다 363


11장 세포 주기 조절 365

11.1 서론 366

11.2 세포주기 연구에는 몇 가지 실험 시스템이 사용된다 367

11.3 사이클린-의존성 인산화효소 활성 주기가 세포 증식을 조절한다 370

11.4 CDK-사이클린 복합체는 여러 방식으로 조절된다 373

11.5 세포는 세포주기를 철회할 수 있다 375

11.6 세포주기로의 진입은 엄격히 조절된다 376

11.7 DNA 복제에는 단백질 복합체의 순차적인 조립이 필요하다 377

11.8 유사분열은 몇 가지 단백질 인산화효소에 의해 총괄 조정된다 380

11.9 자매 염색분체들은 후기까지 함께 붙어있다 383

11.10 유사분열기에서 빠져나오려면 사이클린 단백질분해 그 이상의 과정이 필요하다 384

11.11 세포주기 과정들은 조정되어 진행된다 386

11.12 체크포인트 제어작용은 세포주기의 여러 과정들을 조정한다 388

11.13 DNA 복제 및 DNA 손상에 대한 체크포인트는 DNA 대사 결함을 모니터한다 389

11.14 방추체 조립 체크포인트가 염색체-미세소관 부착 결함을 모니터한다 393

11.15 세포주기 조절이 안 되면 암으로 이어진다 395


12장 세포자살 397

12.1 서론 398

12.2 캐스페이스는 특정 기질을 절단함으로써 세포자살을 총괄 조정한다 399

12.3 집행자 캐스페이스는 절단되어 활성화되는 반면, 개시자 캐스페이스는 2량체를 형성하여 활성화된다 400

12.4 세포자살 단백질의 저해제들 중 일부는 캐스페이스를 차단한다 402

12.5 염증에서 작용하는 캐스페이스도 있다 402

12.6 세포자살의 사멸수용체 경로는 외부 신호를 전달한다 403

12.7 TNFR1(종양괴사인자 수용체 1)에 의한 세포자살 신호전달은 복잡하다 405

12.8 세포자살의 미토콘드리아 경로 406

12.9 Bcl-2 패밀리 단백질들은 MOMP와 세포자살을 매개하고 조절한다 407

12.10 MOMP에는 다중도메인 Bcl-2 단백질인 Bax와 Bak이 필요하다 408

12.11 Bax와 Bak의 활성화는 또 다른 Bcl-2 패밀리 단백질들에 의해 제어된다 409

12.12 MOMP에 의해 방출된 사이토크롬 c 는 캐스페이스 활성화를 유도한다 409

12.13 MOMP에 의해 방출되는 일부 단백질들은 세포자살 저해제를 차단한다 410

12.14 세포자살의 사멸수용체 경로는 BH3 도메인만을 갖고 있는 단백질인 Bid의 절단을 통해 MOMP에 관여할 수 있다 411

12.15 MOMP는 캐스페이스-비의존성 세포사멸을 일으킬 수 있다 412

12.16 미토콘드리아 투과성의 변환은 MOMP를 유발시킬 수 있다 412

12.17 세포자살에 대한 여러 발견들은 선충에서 이루어졌다 413

12.18 곤충의 세포자살은 포유류나 선충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414

12.19 세포자살로 죽은 세포를 치우는 일에는 세포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415

12.20 세포자살은 바이러스 감염 및 암과 같은 질병에 작용한다 416

12.21 세포자살로 죽은 세포는 사라지지만 흔적은 남는다 417


13장 암-원리와 개요 419

13.1 종양은 단일 세포에서 유래한 세포 덩어리이다 420

13.2 암세포는 표현형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특징들이 있다 420

13.3 암세포는 DNA 손상 후에 생긴다 423

13.4 암세포는 특정 유전자가 돌연변이 되었을 때 생성된다 424

13.5 세포의 유전체는 다수의 원종양유전자를 갖고 있다 426

13.6 종양 억제인자 활성을 제거하려면 두 번의 돌연변이가 필요하다 427

13.7 종양의 생성은 복잡한 과정이다 429

13.8 세포의 성장과 증식은 성장인자에 의해 활성화된다 431

13.9 세포는 성장이 저해 받게 되면 세포 주기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433

13.10 종양억제인자는 부적절한 세포주기 진입을 차단한다 435

13.11 DNA를 수선하고 유지하는 유전자가 돌연변이되면 전반적인 돌연변이율이 증가한다 435

13.12 암세포는 불멸성을 얻을 수 있다 437

13.13 생명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은 혈관신생에 의해 이루어진다 438

13.14 암세포는 신체 내의 새로운 곳으로 침투할 수 있다 439


6부 세포의 소통 440


14장 세포 신호전달의 원리 442

14.1 서론 443

14.2 세포의 신호전달은 주로 화학적인 방식이다 444

14.3 수용체는 다양한 자극을 감지하지만 한정된 종류의 세포 신호를 만든다 444

14.4 수용체는 촉매이면서 증폭기이다 445

14.5 스캐폴드 단백질은 신호전달 효율을 높이고 신호전달의 공간적인 체계성을 향상시킨다 446

14.6 독립적인 모듈 도메인들을 통해 특정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447

14.7 세포의 신호전달은 적응성이 대단히 높다 449

14.8 신호전달 단백질들은 흔히 여러 가지 종으로 발현된다 450

14.9 활성화 반응과 불활성화 반응은 분리되어 있어서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452

14.10 세포의 신호전달은 알로스테릭 특성과 공유결합성 변형을 모두 이용한다 452

14.11 2차 신호전달물질은 정보전달을 위해 쉽게 확산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452

14.12 Ca2+ 신호전달은 모든 진핵세포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 된다 454

14.13 지질과 지질 유래 화합물들은 신호전달 물질이다 455

14.14 PI 3-인산화효소는 필수적인 성장 및 대사 기능 등의 활성화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 형태도 조절한다 457

14.15 이온 채널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은 대단히 빠르다 458

14.16 핵 수용체는 전사를 조절한다 459

14.17 G 단백질-신호전달 모듈은 널리 사용되며 적응성이 매우 높다 460

14.18 이종3량체 G 단백질은 폭넓게 다양한 효과기 단백질들을 조절한다 463

14.19 이종3량체 G 단백질은 조절성 GTPase 주기에 의해 제어된다 463

14.20 작은 단량체 GTP-결합 단백질들은 다용도 스위치이다 465

14.21 단백질 인산화/탈인산화는 세포 내의 주요 조절 메커니즘이다 466

14.22 두-성분 단백질 인산화 시스템은 신호전달 중계기이다 468

14.23 단백질 인산화효소의 약리학적 저해제는 질병의 이해와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469

14.24 인산단백질 탈인산효소는 인산화효소와 반대로 작용하며 독립적으로 조절된다 469

14.25 유비퀴틴 및 유비퀴틴-유사 단백질들에 의한 공유결합성 변형은 단백질 기능을 조절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470

14.26 Wnt 경로는 발생과정 동안의 세포의 운명과 성체에서의 다른 과정들을 조절한다 472

14.27 다양한 신호전달 메커니즘이 단백질-타이로신 인산화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473

14.28 Src 패밀리 단백질 인산화효소들은 수용체 단백질-타이로신 인산화효소와 협력하여 작용한다 474

14.29 MAPK는 여러 신호전달 경로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 475

14.30 사이클린-의존성 단백질 인산화효소가 세포주기를 제어한다 476

14.31 다양한 수용체들이 단백질-타이로신 인산화효소들을 원형질막으로 모이게 한다 477


15장 세포외 매트릭스 및 세포부착 481

15.1 서론 482

15.2 콜라젠은 조직의 구조적 지지대 역할을 한다 484

15.3 파이브로넥틴은 세포를 콜라젠 매트릭스로 연결시킨다 487

15.4 탄성섬유들은 조직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489

15.5 라미닌은 세포에 부착면을 제공한다 491

15.6 매트릭스 세포 단백질은 세포와 세포외 매트릭스 간의 상호작용을 조절한다 493

15.7 프로테오글라이캔은 조직에 수분을 공급한다 495

15.8 하이알루로난은 결합조직에 풍부한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캔이다 498

15.9 헤파란황산염 프로테오글라이캔은 세포 표면의 보조수용체이다 499

15.10 기저층은 전문화된 세포외 매트릭스이다 501

15.11 프로티에이스는 세포외 매트릭스 성분들을 분해한다 502

15.12 대부분의 인테그린들은 세포외 매트릭스 단백질의 수용체들이다 506

15.13 인테그린 수용체는 세포 신호전달에 참여한다 508

15.14 인테그린과 세포외 매트릭스 분자는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511

15.15 밀착연접은 세포들 간의 선택적 투과장벽을 형성한다 514

15.16 무척추동물의 격막연접은 밀착연접과 유사하다 516

15.17 부착연접은 인접한 세포들을 연결시킨다 518

15.18 데스모솜은 중간필라멘트-기반의 세포 부착 복합체이다 520

15.19 헤미데스모솜은 상피세포를 기저층에 부착시킨다 521

15.20 간극연접 덕분에 인접한 세포들 간의 직접적인 분자수송이 가능하다 523

15.21 칼슘-의존성 캐더린은 세포들끼리의 부착을 매개한다 525

15.22 칼슘-비의존성 신경세포 부착분자는 신경세포들끼리의 부착을 매개한다 527

15.23 실렉틴은 순환하는 면역세포의 부착을 조절한다 529


용어해설 530

찾아보기 541

고객상품평 0개가 있습니다.

상품을 구매하신 회원님께서는 상품평을 작성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등록 된 상품평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품문의 0개가 있습니다.

상품과 관련된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을 드립니다. 상품 문의하기

등록 된 상품문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조회를 하시려면 송장번호를 클릭하세요
배송조회
상품명
주문번호
택배사
송장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