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 - 개념과 적용 8판
전자책은 Streaming 방식으로 판매됩니다. PDF다운은 저작권법상(불법) 안됩니다. E-book(전자책) 서비스를 무통장 입금을 통하여 이용하시는 경우 공휴일 및 연휴에 주문하신 경우에 한하여 결제진행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0%
SALE
전자책은 Streaming 방식으로 판매됩니다. PDF다운은 저작권법상(불법) 안됩니다.
저희 홈페이지에서 제공해드리는 전자책 서비스는 스트리밍(Non-DRM)방식이므로 결제가 완료되면 따로 다운로드를 받지 않아도 바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그에따라 결제완료 후 단순변심에 의한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한 점 안내드립니다.
생태학의 전 분야를 총망라한 생태학 필독서~!
이 책에서는 자연사, 환경에 대한 생물의 적응, 개체군, 종간 상호작용, 군집과 생태계, 대규모 생태학까지 생태학에 관한 모든 분야가 총망라되어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최근의 교육학적인 경향을 반영하여 개념 중심으로 내용이 전재된다는 것이며, 각 단원별로 적용분야가 제시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물학, 산림과학, 환경학, 조경학, 원예학 등과 관련된 학과의 학부생들에게 생태학의 이해를 위한 필독서이며, 생태학 관련 전공을 하는 대학원생들에게는 연구의 기반을 위한 참고서로 활용될 것이다.
Chapter 1 생태학 서문:
역사적인 토대와 최첨단 연구의 발전 1
1.1 생태학의 개관 2
개념 1.1 복습 3
1.2 생태 연구의 예 3
산새의 생태학: 오래된 수단과 새로움 4
숲의 임관 연구: 물리적이고 과학적인 첨단 영역 6
기후와 생태 변화: 과거와 미래 7
개념 1.2 복습 8
적용 생태학은 환경법과 환경정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9
I부| 자연사와 진화
Chapter 2 육상의 생명 11
육상 생물군계와 식물의 중요성 12
2.1 대규모로 본 기후변이의 유형 14
기온, 대기 순환, 그리고 강수 14
기후도 16
개념 2.1 복습 17
2.2 육상 생물군계를 형성하는 다른 요소 17
개념 2.2 복습 19
2.3 생물군계의 자연사와 지리적 분포 20
열대우림 20
열대건조림 22
열대사바나 24
사막 26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 28
온대초원 30
온대림 32
북방림 34
툰드라 36
산: 다양한 생물군계 39
개념 2.3 복습 42
적용 시간과 공간에 따른 보다 작은 규모의 기후변화 42
Chapter 3 물속의 생명 47
수생 생물군계와 그들의 차이 48
3.1 물 순환 50
물 순환 50
바람과 온도의 영향 51
개념 3.1 복습 52
3.2 수중 환경의 자연사 52
대양 53
천해의 생물: 켈프숲과 산호정원 57
해안: 만조와 간조 사이의 생물 60
전이 환경: 하구, 염습지, 맹그로브숲 및 담수습지 63
강과 하천: 육지의 생명을 유지하는 피와 맥박 68
호수: 작은 바다 74
개념 3.2 복습 78
적용 생물학적 온전성 ‐ 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 78
종 수와 종 구성 79
영양 단계의 구성 79
어류의 풍부도와 상태 79
확인 79
Chapter 4 개체군 유전학과 자연선택 83
4.1 개체군 내에서의 변이 86
널리 분포한 식물에서의 변이 87
고산지대 물고기 개체군에서의 변이 88
개념 4.1 복습 89
4.2 하디-바인베르크 법칙 90
유전자 빈도 계산 90
개념 4.2 복습 93
4.3 자연선택의 과정 93
안정화선택 93
방향성선택 93
분단성선택 94
개념 4.3 복습 95
4.4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 95
유전력: 진화를 위한 필수조건 95
방향성선택: 새로운 숙주식물로의 무환자나무 벌레의 빠른 적응 96
개념 4.4 복습 99
4.5 우연에 의한 변화 99
섬 귀뚜라미에서 나타난 유전자 부동의 증거 99
유전자 다양성과 나비의 절멸 102
개념 4.5 복습 103
적용 진화와 농업 103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잡초의 진화 104
II부| 환경에 대한 적응
Chapter 5 온도 관계 109
5.1 미기후 110
고도 111
사면 111
식생 112
바닥의 색깔 112
돌과 구멍의 존재 112
수중 온도 112
개념 5.1 복습 113
5.2 진화적인 교환 114
할당의 원리 114
개념 5.2 복습 114
5.3 온도와 생물의 활동 115
극한 온도와 광합성 116
온도와 미생물의 활동 118
개념 5.3 복습 119
5.4 체온 조절 119
열을 잃은 만큼 열을 얻기 119
식물의 온도 조절 120
외온동물의 온도 조절 122
내온동물의 체온 조절 124
열을 발생시키는 식물의 온도 조절 128
개념 5.4 복습 129
5.5 극한 온도에서의 생존 129
비활동성 130
대사율 줄이기 130
열대종의 동면 131
개념 5.5 복습 132
적용 도시 열섬에서 달팽이의 지역적인 절멸 132
Chapter 6 물 관계 137
6.1 물 가용성 139
공기 중 물의 양 139
수중 환경에서 물의 이동 141
토양과 식물 사이에서 물의 이동 141
개념 6.1 복습 143
6.2 육상에서의 물 조절 143
동물의 물 획득 144
식물의 물 획득 145
식물과 동물의 물 보존 147
유사한 방법으로 사막 생활에 적응한 다른 생물들 150
사막 생활에 반대로 적응한 두 종류의 절지동물 151
개념 6.2 복습 154
6.3 수중 환경에서 물과 염의 균형 154
해양 어류와 해양 무척추동물 154
담수어와 담수 무척추동물 155
개념 6.3 복습 156
적용 식물의 물 흡수를 연구하기 위한 안정동위원소의 사용 156
안정동위원소 분석 156
식물의 수원을 판별하기 위한 안정동위원소의 사용 157
Chapter 7 에너지와 영양 관계 161
7.1 광합성 독립영양생물 163
빛을 동력원으로 하는 생물권 163
개념 7.1 복습 167
7.2 화학합성 독립영양생물 167
개념 7.2 복습 168
7.3 종속영양생물 169
화학적 구성과 양분 요구 169
개념 7.3 복습 175
7.4 에너지 제한 175
광량자속과 광합성 반응곡선 175
먹이 밀도와 동물의 기능적 반응 176
개념 7.4 복습 177
7.5 최적섭식이론 178
최적섭식이론의 검증 178
파랑볼우럭의 포식 179
식물의 최적섭식 180
개념 7.5 복습 181
적용 생물 정화 -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균의 영양 다양성 이용 181
지하 저장탱크의 누출 181
광산 폐기물 속의 시아나이드와 질산 182
Chapter 8 사회적 관계 185
8.1 짝 고르기 대 포식 187
구피의 짝 고르기와 성선택 188
개념 8.1 복습 191
8.2 짝 고르기와 자원 제공 191
개념 8.2 복습 194
8.3 식물 개체군에서의 작위적인 교배 195
개념 8.3 복습 197
8.4 사회성 197
협력적 번식동물 197
개념 8.4 복습 202
8.5 진정사회성 202
진정사회성종 203
진정사회성의 진화 205
개념 8.5 복습 207
적용 행동생태학과 보존 207
틴버겐의 체계 207
환경 강화와 행동 발달 207
III부| 개체군생태학
Chapter 9 개체군의 분포와 풍부도 211
9.1 분포의 제한 213
캥거루 분포와 기후 213
추운 기후의 길앞잡이 214
습도-온도 구배에 따른 식물의 분포 215
조간대 노출 구배에 따른 따개비의 분포 216
개념 9.1 복습 218
9.2 소규모에서의 분포 유형 218
규모, 분포, 그리고 기작 218
열대 야생벌 군체의 분포 218
사막 관목의 분포 220
개념 9.2 복습 222
9.3 대규모에서의 분포 유형 222
북아메리카에서의 새 개체군 222
수분 구배에 따른 식물 분포 224
개념 9.3 복습 225
9.4 생물의 크기와 개체군 밀도 225
동물의 크기와 개체군 밀도 225
식물의 크기와 개체군 밀도 226
개념 9.4 복습 227
적용 희귀성과 절멸에 대한 민감성 227
희귀성의 일곱 가지 형태와 풍부도 227
Chapter 10 개체군 동태 233
10.1 분산 235
확장하는 개체군의 분산 235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 범위의 변화 236
먹이 공급의 변화에 따른 분산 237
강과 하천에서의 분산 238
개념 10.1 복습 239
10.2 메타개체군 240
고산지대 나비 메타개체군 240
작은황조롱이 메타개체군 내의 분산 241
개념 10.2 복습 242
10.3 생존 유형 242
생존 유형 추정하기 242
유년기의 높은 생존율 243
일정한 생존율 244
유년기의 높은 사망률 245
생존곡선의 세 가지 유형 246
개념 10.3 복습 246
10.4 연령분포 246
대비되는 나무 개체군 246
변화가 심한 기후에서의 개체군 동태 247
개념 10.4 복습 248
10.5 개체군 변화율 248
한해살이 식물의 비율 추정하기 249
세대가 겹칠 때의 비율 추정하기 250
개념 10.5 복습 252
적용 기후 온난화에 대한 반응으로서 종 분포의 변화 252
Chapter 11 개체군 성장 257
11.1 기하적 개체군 성장과 지수적 개체군 성장 258
기하적 성장 258
지수적 성장 259
자연에서의 지수적 성장 260
개념 11.1 복습 261
11.2 로지스트형 개체군 성장 262
개념 11.2 복습 264
11.3 개체군 성장에 대한 제한 264
환경과 갈라파고스핀치의 탄생과 죽음 265
개념 11.3 복습 268
적용 인간 개체군 268
분포와 풍부도 268
인구 동태 269
개체군 성장 269
Chapter 12 생활사 275
12.1 자손 수 대비 자손 크기 277
어류의 알 크기와 수 277
식물에서의 종자 크기와 수 279
종자 크기와 유묘의 활력 281
개념 12.1 복습 283
12.2 성체의 생존과 생식 할당 283
종간 생활사의 변이 283
종내에서의 생활사 변이 285
개념 12.2 복습 287
12.3 생활사의 분류 287
r선택과 K선택 288
식물의 생활사 288
기회주의적 생활사, 평형 상태의 생활사, 그리고 주기적 생활사 290
평생 번식 노력과 상대적인 자손의 크기: 두 중심 변수? 291
개념 12.3 복습 293
적용 기후변화와 번식과 이동의 시기 293
변경된 식물의 생물계절학 293
동물 생물계절학 294
IV부| 상호작용
Chapter 13 종간 상호작용과 경쟁 299
경쟁적 상호작용은 다양하다 301
13.1 종내경쟁 302
식물에서의 종내경쟁 302
멸구의 종내경쟁 304
육상 등각류 사이의 간섭경쟁 304
개념 13.1 복습 305
13.2 경쟁배타와 생태적 지위 305
다윈 핀치의 섭식 생태적 지위 305
나방 애벌레에 대한 경쟁 307
개념 13.2 복습 308
13.3 수리 모델과 실험 모델 308
종간경쟁의 모델링 308
경쟁의 실험 모델 310
개념 13.3 복습 311
13.4 경쟁과 생태적 지위 312
식물 사이의 생태적 지위와 경쟁 312
따개비 사이에서 생태적 지위의 중복과 경쟁 313
경쟁과 염습지 초본의 서식지 314
경쟁과 작은 설치류의 생태적 지위 314
형질치환 316
자연에서의 경쟁에 관한 증거 318
개념 13.4 복습 319
적용 자생종과 외래종 간의 경쟁 319
Chapter 14 이용 상호작용: 포식, 초식, 기생
그리고 질병 323
14.1 이용과 풍부도 324
초식성 수서곤충과 먹이인 조류 324
열대숲의 박쥐, 새 그리고 초식자 325
병원성 기생충, 포식자와 그들의 피식자 327
개념 14.1 복습 328
14.2 동태 328
눈신토끼와 포식자의 풍부도 순환 328
먹이와 포식의 영향에 대한 실험적 검증 330
개체군 순환에 대한 수리 모델과 실험실 모델 331
개념 14.2 복습 334
14.3 은신처 334
수리 모델과 실험실 모델에서의 은신처와 숙주의 지속성 334
이용되는 생물과 그들의 여러 가지 ‘은신처’ 336
개념 14.3 복습 338
14.4 기능적 반응의 비율-의존적 모델 338
영양생태학에 대한 대안 모델 338
비율-의존적 포식의 증거 339
개념 14.4 복습 340
14.5 복잡한 상호작용들 341
숙주의 행동을 조절하는 기생충과 병원체 341
경쟁과 이용의 복잡한 얽힘 343
개념 14.5 복습 344
적용 박쥐를 이용한 해충 조절의 가치: 사례 연구 345
Chapter 15 공생 349
15.1 식물의 공생 351
식물의 행동과 균근 351
개미와 쇠뿔아카시아 355
온대식물의 보호 공생 358
개념 15.1 복습 360
15.2 산호의 공생들 361
황록공생조류와 산호 361
산호의 보호 공생 362
개념 15.2 복습 363
15.3 공생의 진화 363
선택적인 개미-식물 보호 공생 365
개념 15.3 복습 366
적용 공생과 인간 366
안내 행동 367
V부| 군집과 생태계
Chapter 16 종 풍부도와 다양성 371
16.1 종 풍부도 373
대수정규분포 373
개념 16.1 복습 374
16.2 종 다양성 374
종 다양성의 정량화 지수 374
순위풍부도 곡선 376
개념 16.2 복습 376
16.3 환경 복잡도 377
숲의 복잡도와 새의 종 다양성 377
생태적 지위, 이질성, 조류와 식물의 다양성 378
조류와 육상식물의 생태적 지위 378
식물서식 환경의 복잡도 379
토양과 지형의 이질성과 열대림 수목의 다양성 380
조류 및 식물의 종 다양성과 영양소 가용성의 증가 381
질소 축적과 외생균근균의 다양성 381
개념 16.3 복습 382
16.4 교란과 다양성 382
교란의 특성과 원인 382
중간교란가설 383
교란과 조간대의 다양성 383
온대초원의 교란과 다양성 384
개념 16.4 복습 385
적용 인간에 의한 교란 386
도시의 다양성 387
Chapter 17 종간 상호작용과 군집구조 391
17.1 군집의 먹이그물 393
자세한 먹이그물은 고도의 복잡성을 보인다 393
강한 상호작용과 먹이그물 구조 393
개념 17.1 복습 395
17.2 간접 상호작용 395
간접 편리공생 395
외견상 경쟁 396
개념 17.2 복습 397
17.3 핵심종 398
먹이그물 구조와 종 다양성 398
불가사리 제거 실험 398
조류 다양성에 대한 복족류의 영향 400
강의 먹이그물에서 핵심종인 어류 402
개념 17.3 복습 405
17.4 공생하는 핵심종 405
핵심종으로서의 청소물고기 405
핵심종으로서의 종자 분산 공생체 406
개념 17.4 복습 406
적용 인간에 의한 먹이그물의 변형 406
텅 빈 숲: 사냥꾼과 열대우림의 동물군집 407
개미와 농업: 해충 방제를 위한 핵심 포식자 408
Chapter 18 1차생산량과 2차생산량 411
18.1 육지의 1차생산량 패턴 413
실증발산량과 육지의 1차생산량 413
토양의 비옥도과 육지의 1차생산량 414
개념 18.1 복습 415
18.2 수생 1차생산량의 패턴 415
패턴과 모델 416
호수 전체를 대상으로 1차생산량에 대한 실험 416
해양 1차생산량의 지구적 경향 417
개념 18.2 복습 418
18.3 1차생산자 다양성 418
육상식물 다양성과 1차생산량 418
조류 다양성과 수생 1차생산량 419
개념 18.3 복습 420
18.4 소비자의 영향 420
육식성 어류, 플랑크톤포식어와 호수의 1차생산량 420
세렝게티에서 대형 포유류의 초식 행동과 1차생산량 422
개념 18.4 복습 424
18.5 2차생산량 424
생태계에 대한 영양동태적 시각 424
1차생산량과 2차생산량의 연결 426
개념 18.5 복습 428
적용 섭식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안정동위원소 분석의 이용 428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염습지의 에너지원을 확인하기 428
Chapter 19 영양소의 순환과 보유 433
19.1 영양소 순환 434
인 순환 435
질소 순환 436
탄소 순환 437
개념 19.1 복습 438
19.2 분해 속도 438
두 곳의 지중해성 삼림생태계에서의 분해 438
두 곳의 온대림생태계에서의 분해 439
수생태계에서의 분해 441
개념 19.2 복습 442
19.3 생물과 영양소 442
하천에서의 영양소 순환 443
육상생태계의 동물과 영양소 순환 445
식물과 생태계의 영양소 동태 446
개념 19.3 복습 447
19.4 교란과 영양소 447
숲에서의 교란과 영양소 손실 447
범람과 하천에 의한 영양소 유출 449
개념 19.4 복습 450
적용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를 바꾸기 450
Chapter 20 천이와 안정성 455
20.1 천이 중에 일어나는 군집의 변화 457
글레이셔만에서의 1차천이 457
온대림에서의 2차천이 458
조간대 바위에 서식하는 군집의 천이 459
하천에 서식하는 군집의 천이 460
개념 20.1 복습 461
20.2 천이 중에 일어나는 생태계의 변화 461
글레이셔만에서의 생태계 변화 461
400만 년에 걸쳐 일어난 생태계 변화 462
천이와 하천생태계의 특성 463
개념 20.2 복습 465
20.3 천이의 기작 465
촉진 465
내성 466
억제 466
조간대 바위지역에서의 천이 기작 466
숲에서 일어나는 천이의 기작 468
개념 20.3 복습 469
20.4 군집과 생태계의 안정성 469
파크 그래스 실험의 교훈 470
반복되는 교란과 사막 하천의 안정성 472
개념 20.4 복습 473
적용 생태 복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생태 천이 473
천이 개념을 복원에 적용하기 473
VI부| 대규모 생태학
Chapter 21 경관생태학 479
21.1 경관구조 481
오하이오에 위치한 여섯 가지 경관의 구조 481
경관에 대한 프랙탈기하학 483
개념 21.1 복습 484
21.2 경관 과정 484
경관구조와 포유류의 분산 485
서식지 조각 크기 및 고립과 나비 개체군의 밀도 486
서식지 이동통로와 생물의 이동 487
경관 위치와 호수의 화학적 특성 488
개념 21.2 복습 490
21.3 경관구조의 기원과 변화 490
지질학적 과정, 기후, 그리고 경관구조 490
기후와 경관구조 492
생물과 경관구조 492
화재와 지중해 경관의 구조 496
개념 21.3 복습 497
적용 도시 열섬을 완화하기 위한 경관 접근법 497
Chapter 22 지리생태학 503
22.1 면적, 고립, 그리고 종 풍부도 505
섬의 면적과 종 풍부도 505
섬의 고립과 종 풍부도 507
개념 22.1 복습 508
22.2 섬생물지리학의 평형 모델 509
섬에서의 종 재편성 510
섬생물지리학에 대한 실험 511
새로 생긴 섬에서의 식물 정착 512
섬의 크기 조절하기 513
섬생물지리학의 최신 정보 513
개념 22.2 복습 513
22.3 종 풍부도의 위도 구배 514
위도 구배 가설들 514
크기와 위도에 따른 종 풍부도 구배 515
대륙의 크기와 종 풍부도 516
개념 22.3 복습 517
22.4 역사적 영향과 지역적 영향 517
다양성의 예외적인 경향 518
역사적 설명과 지역적 설명 518
개념 22.4 복습 520
적용 전 지구 위치 확인 시스템, 원격 탐사, 그리고 지리정보시스템 520
전 지구 위치 확인 시스템 520
원격 탐사 521
지리정보시스템 522
Chapter 23 지구생태학 525
대기권과 온실 지구 526
23.1 지구계 528
역사적 맥락 528
엘니뇨와 라니냐 529
엘니뇨와 해양 개체군 530
엘니뇨와 그레이트솔트호 532
엘니뇨와 호주에서의 육상군집 533
개념 23.1 복습 534
23.2 인간 활동과 전 지구적인 질소 순환 534
개념 23.2 복습 535
23.3 토지 피복의 변화 535
열대림의 개간 535
개념 23.3 복습 539
23.4 대기 성분에 대한 인간의 영향 539
오존층의 감소와 회복 542
개념 23.4 복습 543
적용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영향 543
생물다양성의 변동과 광범위한 멸종 544
인간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545
부록 A
- 과학적 방법 - 의문과 가설 548
- 표본 평균의 결정 549
- 표본의 중앙값 결정 550
- 자료에서의 변이 551
- 실험실에서의 실험 552
- 표본 크기 553
- 산포도와 변인 사이의 관계 554
- 회귀분석을 이용한 유전력의 추정 555
- 집중분포, 임의분포, 규칙분포 556
- 가설과 통계적 유의성 557
- 개체군에서 대립 표현형의 빈도 558
- 분포 유형에 대한 통계적 검증 560
- 야외 실험 561
- 평균의 표준 오차 562
- 신뢰구간 564
- 군집 내 종의 수 추정 565
- 개체군 비교를 위해 신뢰구간 이용하기 566
- t -테스트로 두 개체군 비교하기 567
- 통계 검정을 위한 가정 569
- 중앙값의 변이 570
- 순위합검정을 이용한 두 표본의 비교 571
- 표본 크기에 대한 재고려 572
- 발견된 것의 발견 573
부록 B 575
용어풀이 579
찾아보기 588
고객상품평 총 0개가 있습니다.
상품을 구매하신 회원님께서는 상품평을 작성해주세요.
- 등록 된 상품평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품문의 총 2개가 있습니다.
상품과 관련된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을 드립니다.
-
Q 삽화잠김 글답변완료laz*****2022-01-10
-
Q 배송 일자 및 전자책 관련 문의잠김 글답변완료ooo***2021-12-16